인문플러스 열다섯 번째 고사성어는 새옹지마입니다. 새옹지마는 #교훈, #불행, #재앙, #위기, #화, #복, #이로움, #성공, #행복, #길흉화복, #예측, #인생, #이치, #조언, #충고, #말, #동물과 관련된 사자성어입니다. 새옹지마의 한자 구성과 의미, 유래, 관련된 유의어에 대해 알아볼까요? 새옹지마의 의미를 풀이해보자 ∇ 한자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. ① 변방 [새] : 塞 / ② 늙은이 [옹] : 翁 / ③ 갈 [지] : 之 / ④ 말 [마] : 馬 ∇ '① 변방 ②③ 늙은이의 ④ 말'이라고 풀이합니다. 변방(邊方)이란, 가장자리 [변]과 모 [방] 한자로 이루어진 말로, 중심지에서 멀리 떨어진 땅을 의미하는데요. 즉, 새옹지마는 나라의 가장자리 변경에 사는 노인의 말(horse)로 풀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