과학적 탐구 방법 중 하나인 연역적 탐구 방법의 과정 중에 실험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는 단계가 있습니다. 이때 실험을 어떻게 설계하고 수행하느냐에 따라서 그 실험 결과를 믿을 수 있는지, 그 결과를 토대로 가설을 검증할 수 있는지가 달려있습니다. 그렇기 때문에 탐구 설계 및 실험 계획이 중요합니다. 실험 계획은 곧 변인을 어떻게 설정하고 관리하느냐에 달렸답니다.

독립변인과 종속변인
변인(variable)이란, 국어사전 의미로는 성질이나 모습이 변하는 원인을 뜻하는데요. 보통 연구 대상의 특정한 속성이나 특징을 일컫는 말로, 변수라고도 합니다. 변인은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이 있습니다.
∇ 독립변인(independent variable)은 실험 결과나 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입니다. 다른 변화와는 관계없이 변하는 변인이기 때문에 독립적으로 변합니다. 독립변인은 또 조작변인과 통제변인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.
① 조작변인은 독립변인 중에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값을 변화시키는 변인입니다. 즉, 연구자가 실험을 위해 컨트롤하여 조작하는 변인이죠. 조작변인은 원하는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변화시키는 변인이기 때문에, 그 변화에 따른 결과를 확인하면서 실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. 이것을 거꾸로 하면 조작변인이 무엇인지 보면 실험 목적을 파악할 수 있다는 이야기가 되겠죠?
② 통제변인은 조작변인을 제외한 나머지 독립변인들로, 값을 변화시키지 않고 유지시키는 변인입니다. 조작변인 외에 다른 변인이 실험에 영향을 미친다면, 그 실험 결과가 오직 그 조작변인에 의한 결과라고 확정할 수 없겠죠? 때문에 다른 변인이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끔 연구자가 통제하는 변인이 바로 통제변인입니다. 이처럼 조작변인 외의 나머지 변인들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행위를 '변인 통제'라고 한답니다. 변인 통제가 잘 되어야 실험 목적에 부합하게 타당한 결론을 이끌어 낼 수 있습니다.
∇ 종속변인(dependent variable)은 독립변인에 의해 영향을 받아서 값이 변하는 변인입니다. 즉, 독립변인의 결과이자 실험 결과 값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 다른 변인으로부터 독립적이지 않고, 독립변인에 종속적이기 때문에 종속변인이죠.

이 콘텐츠와 관련된 다른 글들도 추천드려요!
귀납적 탐구 방법 vs 연역적 탐구 방법 정의와 비교 (사례 포함)
귀납적 탐구 방법과 연역적 탐구 방법은 모두 과학의 탐구 방법 중 하나입니다. 여기서 탐구(探究)란, 진리와 학문 따위를 파고들어 깊이 연구한다는 의미의 단어인데요. 즉, 과학이라는 학문
adtcs-w.tistory.com
♡ 제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,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하트와 응원의 댓글 부탁드립니다. ♡
'과학플러스 Why > 기초과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대기권 구성 성분에 따라 균질권과 비균질권으로 구분하기 (0) | 2021.01.09 |
---|---|
귀납적 탐구 방법 vs 연역적 탐구 방법 정의와 비교 (사례 포함) (3) | 2020.12.29 |